제목 | 제주 제조업체, 새해 체감경기 얼어붙었다. | |||||||||||||||||||||||||||||||||||||||||||||||||||||||||||||||||||||||||||||||||||||||||||||||||||||
---|---|---|---|---|---|---|---|---|---|---|---|---|---|---|---|---|---|---|---|---|---|---|---|---|---|---|---|---|---|---|---|---|---|---|---|---|---|---|---|---|---|---|---|---|---|---|---|---|---|---|---|---|---|---|---|---|---|---|---|---|---|---|---|---|---|---|---|---|---|---|---|---|---|---|---|---|---|---|---|---|---|---|---|---|---|---|---|---|---|---|---|---|---|---|---|---|---|---|---|---|---|---|
작성자 | 이성준 | 작성일 | 2022.12.29 | |||||||||||||||||||||||||||||||||||||||||||||||||||||||||||||||||||||||||||||||||||||||||||||||||||
조회수 | 68 | |||||||||||||||||||||||||||||||||||||||||||||||||||||||||||||||||||||||||||||||||||||||||||||||||||||
- 제주 제조업 경기전망지수(73p), 전 분기(88p) 대비 15p 하락. 제주지수 전국 종합 제조업 경기전망지수(74p)로 보다 하회. └ 5인 이상 기업(n=87) 73p, 10인 이상 기업(n=54) 68p. 내수 침체(40.2%)가 경영실적 하락에 가장 큰 하락 요인. - 경제 활력제고를 위한 정책 마련 시급.
□ 대외악재로 인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23년 1분기 기업경기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외부 충격에 취약한 지역기업 위기극복을 위한 운영자금 지원 확대 및 경제 활력제고를 위한 정책 마련에 역점을 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제주상공회의소(회장 양문석)는 최근 제주지역에 소재한 제조업체 87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 88p보다 15p 하락한 73p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응답기업 중 근로자 10인 이상 기업(54개) 분석 결과, 68p로 역시 기준치(100p)에 미치지 못하는 등 2분기 연속 부정적 전망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BSI(기업경기실사지수)는 기업들이 현장 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0~200사이로 표시되며,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이다.
□ 조사항목별 6개 부문의 전망치(체감경기, 매출액, 영업이익, 설비투자, 공급망 안정성, 사업장 공장 가동)조사결과, 전 분기 대비 체감경기, 매출액, 영업이익, 설비투자, 공급망 안정성, 사업장 공장 가동부문 모두 크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체감경기 전망치(88→73)는 전 분기 대비 15p 하락. ○ 매출액에 대한 전망치(110→86)는 전 분기 대비 24p 하락. ○ 영업이익에 대한 전망치(94→83)는 전 분기 대비 11p 하락. ○ 설비투자에 대한 전망치(91→90)는 전 분기 대비 1p 하락. ○ 공급망 안정성에 대한 전망치는 (97→78)로 전분기 대비 19p 하락. ○ 사업장 공장 가동여건 부문 전망치는 (99→86)는 전 분기 대비 13p 하락. < ‘20. 4분기 ~ ’23. 1분기 항목별 경기전망치 >
□ 2022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목표 달성수준을 묻는 질문에 - 매출실적 : “57.4%”의 기업이 목표 미달했다고 응답했으며 “25.3%”가 연간 목표 달성했고, “17.3%”의 기업이 목표 초과 달성했다고 응답했다. - 영업이익 : “66.7%”의 기업이 목표 미달했다고 응답했으며 “20.7%”가 연간 목표 달성했고 “11.5%”의 기업이 목표 초과 달성했다고 응답했다. <그림2> 2022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목표 달성 수준
![]()
□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국내외 요인을 묻는 질문에 “40.2%”의 기업이 “내수시장 경기”가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어 “원자재가격(33.3%)”, “수출시장 경기(9.2%)”, “고금리 상황(8.1%)”, “고환율 상황(5.8%)”, “기타(2.3%)”, “미응답(1.1%)”으로 응답했다. <그림3>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국내외 요인
□ 제주상의는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건설 및 내수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지역 기업 체감경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하며 “외부 충격에 취약한 지역 기업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운영자금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지역 경기 활력제고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
▲ | 지역산업 생태 확장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2023년 제주특별자차도민 신년인사회 3년만에 개최 |
---|---|
‒ | 제주 제조업체, 새해 체감경기 얼어붙었다. |
▼ | 수출 절차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책자 발간! |
(우)632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1길 18-4(도남동)
대표전화 : 전화 : 757-2164~6 팩스 : 757-2167~8 문의 : cheju@korcham.net
Copyright (c) 2017 jeju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