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주 제조업체, 2분기 기업경기 기대감 전환 | ||||||||||||||||||||||||||||||||||||||||||||||||||||||||||||||||||||||||||||||||||||||||||||||||||||||||||||||||||||||||||||||||||||||||||||||||||||||||||||||||||||||||||||||||||||||||||||||||
---|---|---|---|---|---|---|---|---|---|---|---|---|---|---|---|---|---|---|---|---|---|---|---|---|---|---|---|---|---|---|---|---|---|---|---|---|---|---|---|---|---|---|---|---|---|---|---|---|---|---|---|---|---|---|---|---|---|---|---|---|---|---|---|---|---|---|---|---|---|---|---|---|---|---|---|---|---|---|---|---|---|---|---|---|---|---|---|---|---|---|---|---|---|---|---|---|---|---|---|---|---|---|---|---|---|---|---|---|---|---|---|---|---|---|---|---|---|---|---|---|---|---|---|---|---|---|---|---|---|---|---|---|---|---|---|---|---|---|---|---|---|---|---|---|---|---|---|---|---|---|---|---|---|---|---|---|---|---|---|---|---|---|---|---|---|---|---|---|---|---|---|---|---|---|---|---|---|---|---|---|---|---|---|---|---|---|---|---|---|---|---|---|---|
작성자 | 이성준 | 작성일 | 2023.03.30 | ||||||||||||||||||||||||||||||||||||||||||||||||||||||||||||||||||||||||||||||||||||||||||||||||||||||||||||||||||||||||||||||||||||||||||||||||||||||||||||||||||||||||||||||||||||||||||||||
조회수 | 51 | ||||||||||||||||||||||||||||||||||||||||||||||||||||||||||||||||||||||||||||||||||||||||||||||||||||||||||||||||||||||||||||||||||||||||||||||||||||||||||||||||||||||||||||||||||||||||||||||||
- 제주 제조업 경기전망지수(92p), 전 분기(73p) 대비 19p 상승. 도내기업 30%이상 작년대비 경영실적 높이는 것에 주력 원자재가격 상승(36.0%)이 상반기 사업실적에 가장 큰 리스크 - 안정적인 경영환경 유지 및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 필요.
□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 될 것으로 기대 됨에 따라제주지역 실물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23년 2분기 기업경기 전망’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기업이 기대가 실적에 반영될 수 있도록 자체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물론, 정부는 기업이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 제주상공회의소(회장 양문석)는 최근 제주지역에 소재한 제조업체 8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직전분기 73p보다 19p 상승한 92p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BSI(기업경기실사지수)는 기업들이 현장 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0~200사이로 표시되며,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이다. □ 조사항목별 6개 부문의 실적 조사결과, 체감경기 및 설비투자에 대한 실적은 보합, 매출액, 영업이익, 공급망 안정성, 사업장 공장 가동여건 부문은 하락하였다. ○ 체감경기 실적(62→63)은 전 분기 대비 1p 상승. ○ 매출액에 대한 실적(78→71)은 전 분기 대비 7p 하락. ○ 영업이익에 대한 실적(73→60)은 전 분기 대비 13p 하락. ○ 설비투자에 대한 실적(84→84)은 전 분기 보합 ○ 공급망 안정성에 대한 실적(76→70)은 전분기 대비 6p 하락. ○ 사업장 공장 가동여건 부문 실적(84→78)은 전 분기 대비 6p 하락. < ‘21. 1분기 ~ ’23. 1분기 항목별 전분기 대비 실적 >
□ 조사항목별 6개 부문의 전망치 조사결과, 체감경기, 매출액, 영업이익, 설비투자, 공급망 안정성, 사업장 공장 가동여건 모두 전체적으로 상승하였다. ○ 체감경기 전망치(73→92)는 전 분기 대비 19p 상승. ○ 매출액에 대한 전망치(86→105)는 전 분기 대비 19p 상승. ○ 영업이익에 대한 전망치(83→91)는 전 분기 대비 8p 상승. ○ 설비투자에 대한 전망치(90→99)는 전 분기 대비 9p 상승. ○ 공급망 안정성에 대한 전망치는 (78→89)로 전분기 대비 11p 상승. ○ 사업장 공장 가동여건 부문 전망치는 (86→91)는 전 분기 대비 5p 상승. < ‘21. 1분기 ~ ’23. 2분기 항목별 경기전망치 >
□ 2023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비교 목표 수준을 묻는 질문에 - 매출액 목표 :“34.2%”가 지난해 수준 유지, “34.2%”가 매출액 목표를 하향, “31.6%”가 매출액 목표를 상향했다고 응답했다. - 영업이익 목표 : “35.1%”가 영업이익 목표 하향, “33.8%”가 영업이익 목표를 상향, “31.1%”의 기업이 지난해 수준 유지라고 응답했다.
□ 상반기 사업실적에 큰 영향을 미칠 리스크 요인을 묻는 질문에 “원자재가격 상승(36.0%)”이 사업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어 “고물가로 인한 소비둔화(27.3%)”, “물가 금리인상(25.3%)”, “주요 수출국 경기침체(6.0%)”, “원부자재 수급불안(2.7%)”, “지정학적 리스크(미중 갈등, 전쟁 등)(2.0%)”, “기업부담법안 입법(0.7%)”으로 응답했다.
□ 제주상의는 “중국의 리오프닝이 제주지역 실물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고 말하며 “기대감이 경영실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기업 스스로의 자체적인 노력은 물론 정부는 기업이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 제주·대만 민간경제교류 손잡다 |
---|---|
‒ | 제주 제조업체, 2분기 기업경기 기대감 전환 |
▼ | 글로벌 정치경제학 관점으로 대외 리스크 관리해야 |
(우)632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1길 18-4(도남동)
대표전화 : 전화 : 757-2164~6 팩스 : 757-2167~8 문의 : cheju@korcham.net
Copyright (c) 2017 jeju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