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제주상공회의소

보도자료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과일 및 채소류↑, 육류 및 수산물류↓ (추석 물가 조사)
작성자 이성준 작성일 2023.09.11
조회수 70
첨부파일


과일 및 채소류, 육류 및 수산물류

 

  - 재래시장 기준 올해 추석 차례상, 전년대비 약보합세 전망

  - 26개 제수용품 조사결과, 지난해 대비 0.5% 상승한 302,400

  - 작황부진 과일류 및 채소류 등 주요 제수용품 가격 큰 폭 상승

  - 반면, 소비위축으로 수산물 할인 진행, 가격 하락세 뚜렷

  - 정부 비축분 공급량 증가로 점차 가격 안정세 보일 것

 

올해 집중호우와 태풍 그리고 폭염 등 이상기후로 인해 과일류 및 채소류 작황부진에 따른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한 반면, 육류 및 수산물류의 경우 근래 소비가 위축된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명절을 앞두고 정부 비축분 공급량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점차 제수용품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상공회의소(회장 양문석)는 추석명절을 약 20여일 앞두고 제주지역 재래시장을 대상으로 추석명절 물가동향을 조사한 결과, 이번 추석 차례상 제수용품 구매비용은 4인 가족을 기준으로 작년대비 0.5% 상승한 302,400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는 9/8() 기준으로 제수용품 26개 품목에 대한 결과이며, 이중 가격이 상승한 품목은 12개이며, 하락한 품목은 7개로 나타났다.

□ 그중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대파(1kg)로 전년도 2,500원에서 6,000원으로 140.0% 상승했으며, 그 뒤로 동태포(100.0%), 시금치(81.3%), 젖은고사리(66.7%), 계란(50.0%)의 상승률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편, 하락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옥돔으로 지난해 35,000원에서 올해 20,000원으로 42.9% 하락했으며, 그 뒤로 오징어(37.5%) 애호박(20.0%), 밀가루(13.1%), 소고기(산적, 10.8%) 등이 하락했다.

<2023년 품목별 추석 물가 상승 상위 7개 품목(2022년대비)>

 

 

<2023년 품목별 추석 물가 하락 상위 5개 품목(2022년대비)>

 

 

품목별로 동향을 살펴보면, 과일류 6개 품목을 구매할 경우 지난해 추석 명절 대비 9.9% 상승한 88,000원이 소요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 과일류 중 사과(5)’는 전년 대비 19.0% 상승한 22,500, ‘(5)’3.7% 상승한 22,500, ‘하우스귤(1kg)’21.4% 상승한 8,500, ‘(1kg)’20.0% 상승12,000, ‘대추(300g)’와 곶감(10)은 전년과 동일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봄철 저온·서리 피해로 수확량이 감소한 사과, 배 가격이 당분간 강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되며, 본격적인 출하가 시작되고 있는 하우스 귤의 경우 앞으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채소류 8개 품목을 구매할 경우 지난해 추석명절 대비 31.0% 상승한 58,300원이 소요될 것으로 조사었다.

- ‘시금치(400g)’81.3% 상승한 14,500, ‘젖은 제주고사리(400g)’66.7% 상승한 10,000, ‘(2kg, 1)’11.1% 상승한 5,000, ‘대파(1kg, 1)'140.0% 상승한 6,000, ‘콩나물(1kg)’ 도라지(국산)(400g)’, ‘표고버섯(150g)’은 작년과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하였으, ‘애호박(1)’20.0% 하락한 2,800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 연일 지속된 폭염과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채소류의 작황부진, 고품질 물량 부족으로 대폭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부 비축분이 시장에 확대 공급될 경우 가격이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시금치의 경우 공급량 부족에 따른 높은 가격으로 제주시 동문시장에서는 거래되고 있지 않았다. (시금치의 경우 aT농산물유통정보(KAMIS) 참고)

육란류 및 해산물류 7개 품목을 구매할 경우 지난해 추석 명절 대비 13.4% 하락한 120,400원이 소요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 육란류 중 소고기(국거리(500g))’의 경우 1.5% 상승한 27,500, ‘소고기(산적(600g))’의 경우 10.8% 하락한 33,000원대에 가격이 형성되었다.

   돼지고기(오겹(600g))’7.7% 하락한 18,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계란(일반란(10))은 전년 대비 50.0% 상승한 3,900원으로 조사되었다.

- 해산물류에서 옥돔(1마리(국산))’은 전년 대비 42.9% 하락한 20,000, ‘오징어(2마리)’는 전년대비 37.5% 하락한 8,000, ‘동태포(500g)’는 전년대비 50% 상승한 10,000원선에서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올 여름 육류소비가 감소함에 따라 육류 가격이 다소 안정세를 보이고 있고 수산물 또한 소비위축으로 큰 폭의 할인을 진행하고 있어 한동안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공식품 5개 품목을 구매할 경우 지난해 추석 명절 대비 4.5% 하락한 35,700원이 소요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공식품류 중 '밀가루(2.5kg)'5,300, 두부(국산 4)8,000, '청주(1.8L)'11,900, ‘약과(찹쌀,300g)’4,200, ‘송편(500g)’6,3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공식품 물가는 작년에 큰 폭으로 상승한 가격대를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추석 제수용품은 과일류와 채소류의 경우 봄철 저온 피해와 여름 집중호우, 태풍, 폭염 등 이상기후로 인해 일부 품목의 출하량이 감소함에 따라 지난해 보다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반면, 경기침체의 여파로 육류 및 수산물류는 소비위축으로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폼목별 가격변동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이 큰 품목을 중심으로 정부 비축분 공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추석명절을 앞두고 제수용품 가격이 점차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상의 관계자는 경기침체로인해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올 추석명절 소비를 진작하기 위한 다양한 할인행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하며 특히, 수산물 소비위축으로 우리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만큼, 지역 수산물 소비 캠페인에 적극 동참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이전글, 다음글
통상환경 변화에 공동 대응한다.
과일 및 채소류↑, 육류 및 수산물류↓ (추석 물가 조사)
제주-몽골 간 민간경제교류 활성화 첫발 내디뎌

제주상공회의소

(우)632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1길 18-4(도남동)

Copyright (c) 2017 jejucci, All Right Reserved.